Infra
-
ncloud - Container Registry에 도커 이미지 등록 및 요금 알아보기Infra/ncloud 2022. 7. 9. 18:05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Container Registry 서비스에 대해 살펴보고 사용 요금은 얼마나 되는지 또 실제 이미지를 저장(push)해보고 Server에 설치된 도커에 내려받는(pull) 과정을 통해 동작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등에 대하여 익혀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Container Registry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ainer Registry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사용하는 도커 이미지 저장소 위의 그림과 같이 기본적으로 도커 컨테이너 이미지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Object Storage라는 또 하나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저장합니다. 따라서 도커 컨테이너 레지스트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Object Storage 이용신청을 해야합니다. 따라서 왼쪽의 ..
-
ncloud - Server에 docker 설치해보기Infra/ncloud 2022. 7. 9. 14:23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서버 제품중 하나를 선택하여 실제로 도커를 설치해보는 과정에서 발생한 경험들을 적어놓은 글입니다. 먼저 ncloud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커 관련 서비스들을 찾아보면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서비스명 설명 Container Registry 도커 컨테이너 이미지를 간편하게 저장, 관리, 배포할 수 있는 서비스 Server 클라우드 상에서 서버를 확장할 수 있는 서비스 Kubernetes Service 빠르고 간편한 관리형 Kubernetes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 저는 간단하게 컨테이너 하나만 서버에 띄워볼것이기 때문에 쿠버네티스까지는 사용하지 않고 컨테이너 레지스트리와 서버 두개의 서비스를 이용해서 도커를 한번 사용해보겠습니다. 도커를 사용하려먼 먼저 설치할 ..
-
ncloud 서버 생성 - 어떤 서버를 선택해야할까??Infra/ncloud 2022. 7. 2. 17:35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compute server를 사용해보고 싶은데 어디서부터 뭘 봐야할지 모르겠고 공식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수많은 글을 다 읽어볼 시간이 없으신 분들을 위해 ncloud 공식 문서를 토대로 압축정리 해놓은 글입니다. 1. 클라우드 플랫폼 환경 선택 먼저 네이버 클라우드의 서버를 사용하려면 classic 환경을 선택할 것인지 VPC 환경을 선택할 것인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VPC는 Virtual Private Cloud의 약자로써 위의 그림과 같이 사설 네트워크 공간을 처음부터 통째로 할당받을 수 있어 subnet등을 구성할 수 있고 IP를 지정할 수 있어 scale 및 보안 측면에서 용이합니다. 반면 classic 환경은 그림과 같이 IP가 랜덤으로 생성되어 각 서버간에 브릿지를..
-
윈도우와 리눅스중 어느게 더 보안에 취약할까??Infra/OS 2021. 11. 15. 15:52
많은 기업에서 서버 OS를 선택할때 윈도우 서버와 리눅스 서버 중에 고민을 합니다. 대표적으로 몇가지 비교군이 있겠지만 보안에 있어서는 어느게 더 성능이 우수하고 어느게 더 보안에 취약할까요??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 점이 윈도우는 비싸고 리눅스는 오픈소스이고 무료라서 리눅스가 더 보안에 취약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사실 리눅스는 개발 업체나 개발자들로부터 수시로 업데이트가 되고 있으며 안정성과 보안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리눅스는 관리자 권한(root)으로 로그인 하지 않으면 모든 사용자는 보호 모드에서 작동합니다. 윈도우도 비슷하게 Administrator 그룹 계정이 root 계정 역할을 하지만 사실상 Administrator가 아니면 일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설치/제거..
-
Rest API, RestfulInfra/Network 2020. 12. 7. 13:55
요즘들어 Rest라는 단어를 많이 접하는데 그 단어가 무엇을 뜻하는걸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Rest는 Representas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서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에 의한 상태전달"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드리자면 자원(resource)의 표현 ex) 게시글 => board, 채팅 => chat 상태전달 데이터가 요청되는 시점에서 자원의 상태를 전달하는 것 이런식으로 나눠서 해석하시면 됩니다. 위에는 이해하기 쉽게 간략하게 설명했지만 Rest가 가지는 구체적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 URI(Uniform Resource Indentifier)를 통해 자원(Resource)을 명시하고 HTTP ..
-
쉘(Shell) 파일 읽는방법(쉘 프로그래밍 문법)Infra/OS 2020. 9. 16. 10:41
1. 쉘 스크립트의 첫번째 라인에는 대부분 #!/bin/sh 라는 문장이 있는데, 이는 어떤 쉘을 이용하여 이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것인지를 지정하는 것이다. 즉, 스크립트가 실행되면 /bin/sh 프로그램 하에서 실행됨을 의미한다. 2. 변수 그냥 변수명을 적으면 된다. 변수의 타입이나 형을 명시하지 않는다. 변수에 값을 할당하지 않아도 특별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으며, NULL로 초기화하고 나중에 값을 할당하려고 한다면 다음과 같이 한다. name= ①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는 ‘=’ 기호를 사용하는데 = 사이에 공백을 넣으면 안된다. name=test # 맞다. name = test # 틀리다. 만일 입력하려는 이름에 공백이 있다면 다음처럼 한다. name="Chu Coding" ② 만일 인수로 입력되..
-
VirtualBox vs VMware 어떤 가상머신을 사용해야 할까?Infra/Network 2020. 8. 21. 17:45
VirtualBox GNU (General Public License) 조건에 따른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 무료로 제공되는 유일한 전문 솔루션 입니다. Windows (NT 4.0, 2000, XP, Server 2003, Vista, Windows 7, Windows 8, Windows 10) Linux (2.4, 2.6, 3.x 및 4.x) 참고자료 TITLE URL VirtualBox.org https://www.virtualbox.org/
-
[AWS EC2] Amazon EBS 볼륨 유형 살펴보기Infra/aws 2020. 4. 24. 22:05
EBS는 위의 이미지 처럼 2개의 SSD와 1개의 HDD 볼륨 유형을 지원합니다. 1. 범용 SSD (gp2) 2. 프로비저닝 된 IOPS SSD (io1) 3. 처리량 최적화 HDD (st1) [범용 SSD 볼륨] I/O 요구사항이 보통 수준이거나 가끔씩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스토리지에 적합합니다. 부팅 볼륨, 중소 규모 데이터베이스, 개발 및 테스트 환경과 같은 광범위한 사용 사례에 이상적입니다. [Provisioned IOPS 볼륨] I/O 집중적인 애플리케이션(예: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한 스토리지로 예측 가능하고 우수한 성능을 제공 [HDD 지원 볼륨] 이 볼륨은 Amazon EMR, ETL, 데이터웨어 하우스 및 로그 처리와 같은 대규모 스트리밍 워크로드에 이상적입니다. 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