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고득점 kit / 정렬 / H-Index / JAVA

외계공룡 2020. 4. 17. 21:54

문제 설명

H-Index는 과학자의 생산성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어느 과학자의 H-Index를 나타내는 값인 h를 구하려고 합니다. 위키백과(https://en.wikipedia.org/wiki/H-index)에 따르면, H-Index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

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 n편 중, h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h편 이상이고 나머지 논문이 h번 이하 인용되었다면 h의 최댓값이 이 과학자의 H-Index입니다.

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인용 횟수를 담은 배열 citatio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이 과학자의 H-Index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수는 1편 이상 1,000편 이하입니다.
  • 논문별 인용 횟수는 0회 이상 10,000회 이하입니다.

 

입출력 예

citations return
[3, 0, 6, 1, 5] 3

 

입출력 예 설명

이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수는 5편이고, 그중 3편의 논문은 3회 이상 인용되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2편의 논문은 3회 이하 인용되었기 때문에 이 과학자의 H-Index는 3입니다.


나의 풀이

import java.util.Arrays;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citations) {
        int answer = 0;
        
        Arrays.sort(citations);
        
        if(citations[0] >= citations.length) answer = citations.length;
        else {
            for(int i=0; i<citations.length; i++){
                if(citations[i] > citations.length - i) {
                    if(citations[i-1] < citations.length-i) answer = citations.length-i;
                    else answer = citations[i-1];
                    break;
                } 
            }
        }
        
        return answer;
    }
}

풀이 분석

이 문제는 테스트케이스를 잘 생각해봐야하는 문제입니다.

제가 사용한 테스트 케이스는

 

[3, 0, 6, 1, 5]

[5, 5, 5, 5]

[0, 100]

 

총 3개 입니다. 

 

다음과 같이 경우를 3가지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일반적인 경우 [3, 0, 6, 1, 5] 정렬 후 첫번째 값부터 비교해주면서 전체 배열의 길이에서 인덱스 값보다 커지는 구간을 찾아주시면 됩니다.

그러나 [5,5,5,5]의 경우에는 전체 배열의 길이가 이미 첫번째 값보다 작습니다. 따라서 해당 경우를 예외처리 해주어야합니다.

또한, [0, 100]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이전 값을 answer 에 넣으면 0이 답인데 이 경우에는 1이 답이므로 0의 length값을 answer에 넣어주셔야 합니다.


다른 풀이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Hindex {

	public int solution(int[] citations) {
        int answer = 0;
        Arrays.sort(citations);

        for(int i=0; i<citations.length; i++){
            if(i >= citations[citations.length-1-i]) return i;
        }

        if(answer == 0) answer = citations.length;

        return answer;
    }
}

if문을 아래로 내려 불필요한 else문을 없애므로 식이 깔끔해집니다.

그러나 배열길이보다 큰 값이 들어오면 불필요한 for문을 돌기때문에 해당 처리는 위에서 해주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그것빼고는 전체적으로 깔끔하고 훌륭한 코드입니다.

배열은 뒤에서부터 인덱스는 앞에서부터 오면서 교차되는 시점을 찾는 방법입니다.


히스토리

 

chucoding/algorithm

알고리즘 문제풀이 사이트 도전~!! . Contribute to chucoding/algorithm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